외주용역비 지급은 꼭 일시납을 해야 하나요?
A. 외주용역비는 용역 종료 후 일시금 후납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선금/잔금의 형태로 용역계약을 진행시에는 선급금은 계약금액의 50%를 초과하여 집행할 수 없고, 선급금이 500만원 이상일 경우 선급금보증보험증권을, 500만원미만인 경우 선급금보증각서를 첨부하여야 합니다.
세목 광고선정비의 세세목중 일반수용비와 일반용역비의 차이를알고싶습니다.
A. 일반용역비는 계약을 체결하여 외부업체에 의뢰하는 경우에 해당됩니다. 실질적인 과업의 수행 진행, 완료한다면 일반용역비성격이며, 단순한 소모성의 물품등의 구입이라면 일반수용비 성격으로 구분하시면 됩니다.
마케팅비도 선급금보증보험증권에 가입해야 하나요?
A. 마케팅을 위한 계약 및 외주용역을 진행하는 경우 외주용역비 기준 및 유의사항을 준용해야 하기 때문에 500만 원 이상의 선급금을 지급할 시 가입하여야 합니다.
당사의 네이버 브랜드 검색광고를 위하여 네이버에 사업비를 집행코자 합니다.
네이버의 경우 선입금으로 광고계정에 충전하고 광고상품을 결제하면 세금계산서가 발행되는 방식으로 광고집행이 가능합니다.
k-startup 시스템으로 등록 후 이체시 세금계산서 발행전으로 집행이 어려운데요.
기타로 집행하고 세금계산서 발행 후 증빙에 첨부하여도 되는지 문의 드립니다.
혹은 다른 방식으로 가능한 방식을 알고 계시면 안내 부탁 드립니다.
기타로 집행하여 선입금 후 세금계산서를 추후에 업로드 하는 것은 가능합니다.
다만, 선입금을 통한 광고상품 결제에 대해 해당 과제와의 연관성 등 확인이 필요하며, 잔여금액 및 광고소진내역 등 추가로 확인되어야 하는 부분이 발생합니다.
하여, 소진내역 상 해당 과제와의 연관성이 미비하고 선결제 금액 중 잔액이 발생한다면 복원요청이 진행 될 예정입니다.
두번째로는 법인에서 선입금 하신 후 광고상품 결제액 중 해당 과제 사용액에 맞게 사업비로 자계좌이체를 진행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해당 과제에 사용된 소진내역 등 추가적인 증빙서류 확인이 필요합니다.
광고선전비 증빙서류에는 세금계산서(신용카드 영수증), 거래처 사업자등록증, 거래처 통장사본, 계약서(과업내용 포함), 결과보고서(결과물), 검수확인서(증빙사진 포함), 홍보제작물 등 이 있으며, 시스템 업로드 시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당사는 아마존 광고비로 사업비를 집행하려고 하며
아마존 광고비 정산은 두가지가 있습니다.
1. 매출차감방식(판매정산금에서 집행된 광고비를 차감하고 당사로 대금입금)
2. 법인카드결제
사업비 카드로 본 광고비를 결제 가능하나 법인카드로 결제할 경우
- 아마존 판매자계정은 하나이고,
- 당사의 판매 아이템이 여러개이다 보니
- 창업아이템 외 당사의 다른 판매아이템의 광고비까지 같이 결제가 됩니다.
이와 같은 문제로 사업비 카드 결제 방식이 아닌
매출차감방식으로 사업비 집행이 가능한지 여쭤봅니다.
매출차감방식으로 가능한 경우 아마존광고비 인보이스 상 본사업의 아이템만 분리하여
청구일자 기준환율(서울외국환중개 고시환율)을 적용하여 사업비 계산 할 예정입니다.
사업비 집행을 위와같이 진행하여도 무방한지 의견 부탁 드립니다
A. 사업비의 경우 사업비 계좌를 통한 계좌이체 및 사업비카드 사용이 원칙입니다. 다만 아마존의 경우 결재방식은 2가지로 매출차감방식과 카드결재방법으로 선택가능합니다.
매출차감방식을 선택 후 사업비 자계좌이체가 가능합니다.
창업사업화과 관련있는 캠페인이 표시된 인보이스를 첨부하여주시고, 인보이스 청구날짜에 해당하는 재정환율을 적용한 금액으로 사업비 신청하여 주시면 됩니다.
(우 35309) 대전광역시 서구 유등로 641 (용문동 206-1)
TEL. 042) 487-7640
FAX. 042) 487-7657
(우 35309) 대전광역시 서구 유등로 641 (용문동 206-1)
TEL. 042) 487-7640
FAX. 042) 487-7657